관련뉴스

'성실상환자' 비율 10년새 늘었다.맞춤형 채무조정제도 효과

작성자 정보

  • 누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신복위 채무조정 이용자 중 성실상환자 70.8%→73.5%
연체 초기 채무조정 신청 비중 늘어…"채무위기 조기 대응"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제도 이용자 중 성실하게 빚을 갚는 채무자 비율이 최근 10년 새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무자 상환능력을 감안한 맞춤형 채무조정제도가 효과를 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채무조정 제도 이용자 가운데 성실상환자 비율이 2014년 70.8%에서 지난해 73.5%로 2.7%포인트(p ) 올랐다. 해마다 0.1~0.7%p씩 늘었다.

경기 불황 속에서도 성실하게 채무를 변제하는 사람은 지속해서 늘고 있다는 의미다. 신복위 관계자는 "연체 초기 단계(3개월 미만)에서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며 "보다 빠르게 채무 위기에 대응하고 재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신복위는 현재 맞춤형 채무조정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채무자가 상환할 수 있는 수준에서 경제활동을 유지하며 재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다. 해당 제도에는 신속 채무조정, 사전채무조정, 개인워크아웃 등이 있다.

맞춤형 채무조정 제도는 채무자 상환 능력을 고려해 최장 8년간의 상환기간을 두고 금리도 조정해 준다. 채무자 상황에 따라 원금 감면도 병행한다.

신용컨설팅, 취업·복지 지원 등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한다. 채무자 자립을 돕기 위한 취지다.

신복위 관계자는 "채무조정을 이행 중인 채무자의 비율이 꾸준히 유지되거나 증가하고 있어 채무조정 제도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채무조정 이후 상환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채무자들의 재기와 자립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지속해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자료

최근글


새댓글